수송부에서 오늘도 열심히 고생하는 운전,정비병들과 부사관들에게 이 글을 헌정합니다.
소위,하사 신분으로 여기저기 선탑다니시는 초임간부님들께도 이 글을 바칩니다~
먼저 카운티 구형부터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몇번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서 계기판 모양은 조금씩 바뀌어왔지만 공조패널은 그대로니까 그냥 구형이라고 칭하겠습니다.
현대자동차 홈페이지 사용자 설명서 자료실에서 가져온 사진입니다.
카운티 (중형버스)는 운전자석은 에어컨과 히터가 통합이 되어있지만, 승객석은 에어컨과 히터를 따로 켜고 조절해줘야합니다.
그래서 운전병들은 버스를 처음 운행할때 운전은 연습을 정말 많이 했지만, 에어컨과 히터 켜는법을 잘 몰라서 헤메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선탑자들도 대부분 신임 간부들이라 에어컨,히터를 켤줄몰라서 쩔쩔 메는 경우도 많았어요!! 꼭 이 글 보고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여름에는 9번 A/C 버튼이 켜져있는지 확인, 5번RR A.C 버튼 돌려주시기 꼭 돌려주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여름에는 4번 RR이 켜져있으면 큰일 납니다. RR은 승객석 히터 풍량 조절 스위치입니다. 여름에 켜면 승객들 쪄죽습니다. 그게 목적이라면 안말리겠습니다
반대로 겨울에 4번 RR스위치 (승객 히터스위치)만 돌리셔야 하는데 RR A/C도 돌리고 겨울에 춥다고 그러시면 곤란합니다.
머리 위에서 에어컨이 나와서 추워요. 겨울에는 꼭 4번, RR만 돌리세요!
사계절 언제든 FR은 사용하셔도 됩니다! 성에나 습기찰때, 유리창이 얼어붙었을때 Front로 돌리셔서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여름에 습기가 많이 차니까 A/C도 켜고 장거리 운전할때 공기가 탁해서 졸릴 수 있으니 외기모드 등등 잘 활용하세용~
이제는 신형 카운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신형카운티로 바뀌면서 공조 시스템이 많이 편해졌지만 아직 헷갈리는 점은 많이 있지요.
여기서도 동일하게 승객석은 온도조절이 불가능합니다.
에어컨을 켜거나, 히터를 켜거나, 아예 끄거나 하셔야합니다
승객석 공조방향과 에어컨ㅡ히터 선택이 연동되어있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승객성 다리를 켜면 히터가 켜지고, 승객석 머리를 켜면 에어컨이 켜집니다.
웃긴게 다리를 누르고 풍량 조절버튼 눌러서 켜고, 머리를 누르고 풍량 조절 버튼을 눌려서 켜면 히터,에어컨 다켜지게 됩니다.
조작하다가 실수로 승객석 머리를 켜두면 에어컨도 나오고 히터를 나오는 상황을 겪게 됩니다.;;;
겨울에 실수로 히터랑 에어컨 둘 다 가동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꼭! 승객석은 에어컨(머리) 히터(다리)라는점 기억해두시고
에어컨 히터 둘다 동시에 작동이 가능합니다만 , 실수로 둘다 켜고 추워하거나, 더워하는경우는 없길 바라겠습니다.
승객석 공조를 조절할려면
1. PASS 버튼을 누르고
2. 모드선택버튼을 누르고 (여름엔 머리~ 겨울엔 다리로 꼭 누르시고, 둘 중에 하나면 켜세요~)
3. 원하는 풍량을 설정하시면 됩니다.
겨울인데 자꾸 머리위에 에어컨이 나온다~ 그럼 PASS 눌르고 모드 선택 누른 후 머리모드일때 off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여름인데 자꾸 다리에서 뜨거운 바람이 나온다~ 그럼 PASS 누르고 모드 선택 누른 후 다리모드일때 off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이상입니다.
운전병으로 군 생활 하면서 사고 안나고 정비나 작업하다가 다치지 마시고 조심히 복무하시고
사회에서 못몰아볼 특장차들, 여러종류의 트럭들과 트레일러들 많이 몰아보시고
ASP, 군수지원여단, 산 꼭대기에 방공진지, 통신노드 같이 못가볼만한 곳도 다 가보시고
선탑자랑 재밌는 얘기도 많이하고 재미난 군생활 하시기 바랍니다~
꼭 대형면허, 소형견인 면허(3t 미만 트레일러 EX 발전기,세탁트레일러,취사트레일러,보일러 트레일러,카고 트레일러) ,특수면허(견인,구난) 면허 갱신하시기 바랍니다.
'꿀팁 전수해 드립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대예술전문인 교재는 24년 1월 4일 부터 구매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0) | 2023.12.21 |
---|